1인 크리에이티브

확 바뀐 유튜브 세금 -업종코드

節稅美人 2019. 10. 4. 15:03

대한민국 최초의, 그리고 최고의 유튜브 등 1인 크리에이티브 산업 관련 전문 세무사로 자타 공히 인정 받는 서찬영 세무사 입니다.

1인 미디어 전문 서찬영 세무사

유튜버 탈세에 대해서 KBS 뉴스에 출연했던 영상 캡쳐

 

유튜브 세금에 대한 SBS 모닝와이드 출연했던 영상 캡쳐

 

1인 미디어 업종코드 추가

1인 미디어란 말이 무색하게, 이제는 작은 방송국이 되어서 나름의 역할 부담도 하고, 수익 구조도 다양화 하는 등 챙겨봐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또한 환율을 비롯 해외 수익 부분으로 국제조세 항목에 해당하여 상당한 난이도가 있는 분야입니다.

항상 관련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으며 그중 최근에 유튜브 세금에 대해 중요한 의미가 있는 부분이 있어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2019년 기준 업종코드가 추가 되었습니다.

 

 

921505 정보통신업/ 미디어콘텐츠창작업, 940306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 1인미디어콘텐츠창작자

입니다.

좀 더 살펴 볼까요?

 

921505 코드

 

그리고 또 하나의 업종

 

 

940306 코드

 

유튜버 전문 세무사가 절세를 약속드립니다. 

저희 클라이언트들은 이미 최적의 업종코드를 찾고, 그와 연관되어 여러가지 절세 방안들을 세워 뒀기 때문에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어디서 봤더니 광고업으로 하라던데요…"

하는 말에 대한 설명을 하지 않아도 되어서 기쁘게 생각합니다.

이제 업종코드가 정해진 만큼 기존 클라이언트들은 잘 세팅된 방향대로 합법적이고 최선의 절세를 잘 실행해 나가면서, 추가적인 절세 방향을 찾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 하고,
새로운 클라이언트들은 잘못된 부분을 고쳐 나가는데 있어서 과세관청이나, 클라이언트들의 잘못된 정보 때문에 시간을 허비 하는 일을 줄일 수 있어서 한결 좋습니다.

업종코드가 두개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과세관청의 깊은 고민이 느껴지는데,
이는 출연자와 제작자를 구분한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방송에 출연"만"하는 출연자의 경우에는 940306 코드를 쓰면 될 일이고,
본인의 채널이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921505 코드를 사용 해야 합니다.
(사업자 등록을 반드시 해야 합니다. 한 백번 넘게 말씀 드린 듯 합니다.)

이건 제 거래처들에게는 말씀 드리는 절세 비법중 하나로 다시 활용 되게 될 것이고,
모든것이 예전 부터 줄기차게 설명했던 부분과 하나도 다르지 않습니다.

이 새로운 유튜버들의 업종코드에 대해 얼마나 급했는지 (최초이기 때문에) 정해지지 않은 란 도 있으나 이것은 채워질 내용이고, 또한 신경쓰지 않으셔도 관리를 잘 받으면 자연스럽게 해결 되는 부분입니다.

유튜브 세금에 대해 고민이 많고,
이얘기 저얘기 참 많죠?
틀린얘기가 아직도 돌아다니고, 유튜브 전문이라고 하는데 말만 그럴 듯 하고 절세도 안되는 경우가 많죠?

정답만 알려 드리고, 최대한의 절세를 약속합니다.

 

서찬영세무회계사무소
[네이버 지도] 오시는 길